본문 바로가기

지식들

인문학이란? 개념과유래

728x90
반응형




인문학의 개념과 유래:
-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학문 분야이며, 근대 이전에 그림, 철학, 언어학, 문화사 등 다양한 분야로부터 시작되었다.
- 인문학(휴머니티)이란 용어는 인간성, 인간적인 것을 탐구하는 학문 분야를 지칭한다.
- '파이데이아'와 '후마니타스'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와 로마 고전에서 시작되었다.
- 중세 초기 교부들은 파이데이아와 후마니타스를 그리스도교의 기본 교육 과정으로 채택했으며, 이는 수학, 언어학, 역사, 철학, 과학 등을 포함한 교양 과목으로 취급되었다.

인문학의 발전과 현재:
- 15세기 인문주의자들은 '스투디아 후마니타티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세속적인 문예 및 학술활동을 지칭했다.
- 18세기 프랑스 백과전서파는 스투디아 후마니타티스가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 고전 문헌 연구에만 몰두하는 무미건조한 학문으로 전락했다고 비난했다.
- 19세기 이후 인문학은 더욱 발전하면서 인간과 인문 문화에 대한 연구, 예술, 철학, 심리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게 되었다.
- 인문학은 자연과학과 구분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인간의 의도와 목적에 대한 연구, 인류의 가치와 역사 등을 다루며 일상 생활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역할을 한다.

즉,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하자면
인문학은 인간과 인간의 문화에 대한 연구로, 예술, 철학, 심리학, 문학, 역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인문학은 자연과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인문과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문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인문학은 주로 인간의 철학, 문화, 예술, 역사, 언어, 심리 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인류의 가치, 역사, 문화, 현대사회의 문제 등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다. 인문학의 연구 대상은 광범위하며, 예술작품, 인간심리, 인간관계, 인간철학, 사회적 현상, 문화, 언어 등을 포함한다.

인문학은 사회과학, 자연과학과는 다르게 학문 영역에서 직관적인 이해와 연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구조와 방법론을 갖추고 있다. 인문학 분야의 학자들은 다양한 과정을 거쳐 자기 분야에 대해 깊이 있는 지식과 이해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과 인간의 문화, 역사 등에 대해 풍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문학 연구는 일상 생활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역할을 한다.

728x90
반응형